
持而盈之,
넘치도록 가지는 것은,
不若其已.
버리는 것만 못하다.
揣而群之,
많이 끌어 모아 가지는 것은,
不可長葆之.
오래 보전할 수 없다.
金玉盈室,
금과 옥이 집에 가득하면,
莫之守也.
지킬 수 없다.
貴富而驕,
높은 지위와
많은 재물이 있다고
교만하면,
自遺咎也.
스스로 재앙에 빠지게 된다.
功遂身退,
공을 이루면 자신을 낮추는 것이,
天之道也.
우주의 이치이다.
持 가질 지
而 말이을 이
盈 찰 영
之 갈 지
不 아닐 불
若 같을 약
其 그 기
已 이미 이 : 버리다
揣 헤아릴 취 : 가지다
而 말이을 이
群 무리 군 : 많이 끌어 모으다
之 갈 지
不 아닐 불
可 옳을 가
長 길 장
葆 더부룩할 보 : 보전하다
之 갈 지
金 쇠 금
玉 구슬 옥
盈 찰 영
室 집 실
莫 없을 막 : 불가하다
之 갈 지
守 지킬 수
也 잇기 야
貴 귀할 귀 : 신분이 높다
富 부유할 부 : 재산이 넉넉하고 많다
而 말이을 이
驕 교만할 교
自 스스로 자
遺 남길 유 : 빠지다
咎 허물 구 : 재앙
也 잇기 야
功 공 공 : 공로, 공적, 업적
遂 드디어 수 : 이루다
身 몸 신 : 1인칭 대명사
退 물러날 퇴 : 겸양하다
天 하늘 천 :
천문학(天文學)에서 알 수 있듯이,
'天'자는 형이상학적 하늘이 아니라,
구체적 실체가 있는 ‘까만 하늘’인,
‘우주’를 의미한다.
之 갈 지
道 길 도 : 이치, 도리
也 잇기 야
공을 이루면 자신을 낮추는 것이,
우주의 이치이다.
'도가(道家) 철학 > 도덕경으로 한자 학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자 도덕경 제8장-물처럼 되는 것이 가장 훌륭한 것이다. (4) | 2020.06.24 |
---|---|
노자 도덕경 제7장-사사로움을 버리고 더불어 살면, 오히려 사사로움을 이룰 수 있다. (2) | 2020.05.30 |
노자 도덕경 제6장-계곡의 신은 죽지 않는다. (4) | 2020.05.26 |
노자 도덕경 제5장-성인은 편애하지 않는다. (0) | 2020.05.23 |
노자 도덕경 제4장-빛을 은은하게 하여, 먼지가 된다. (3) | 2020.05.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