上善若水.
물처럼 되는 것이
가장 훌륭한 것이다.
水善利萬物而不爭,
물의 훌륭한 점은
만물을 이롭게만 할 뿐
다투지를 않으며,
居衆之所惡.
모두가 기피하는 곳에
자리 잡는다는 것이다.
故幾於道矣.
그러므로 도에 가깝다.
(이것을 근거로 하여 도를 실천하는)
居善地.
훌륭한 자는
가장 낮은 곳에 자리 잡는다.
心善淵.
훌륭한 자는
가장 깊은 못처럼 마음을 쓴다.
與善信.
훌륭한 자는
믿음으로 더불어 산다.
政善治.
훌륭한 자는
혼란을 바로 잡아 나라를 다스린다.
事善能.
훌륭한 자는
재능에 맞게 일을 시킨다.
動善時.
훌륭한 자는
시대에 맞춰 변화한다.
夫唯不爭,
이러한 자는 다투지 않기 때문에,
故无尤.
허물이 없다.
上(윗 상)
善(착할 선) : 훌륭하다
若(같을 약)
水(물 수)
水(물 수)
善(착할 선)
利(이로울 리)
萬(일 만 만)
物(물건 물)
而(말 이을 이)
不(아닐 불)
爭(다툴 쟁)
居(살 거)
衆(무리 중)
之(갈 지)
所(바 소)
惡(미워할 오)
故(연고 고)
幾(몇 기) : 가깝다
於(어조사 어)
道(길 도)
矣(어조사 의)
居(살 거)
善(착할 선)
地(땅 지) : 가장 낮은 장소를 의미
心(마음 심)
善(착할 선)
淵(못 연)
與(더불 여)
善(착할 선)
信(믿을 신)
政(정사 정)
善(착할 선)
治(다스릴 치)
事(일 사)
善(착할 선)
能(능할 능)
動(움직일 동) : 변하다
善(착할 선)
時(때 시)
夫(지아비 부) : 3인칭 대명사
唯(오직 유)
不(아닐 불)
爭(다툴 쟁)
故(연고 고)
无(없을 무)
尤(더욱 우) : 허물, 과실, 결점, 원한, 원망
물처럼 되는 것이 가장 훌륭한 것이다.
'도가(道家) 철학 > 도덕경으로 한자 학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자 도덕경 제9장-공을 이루면 자신을 낮춰라. (2) | 2020.07.01 |
---|---|
노자 도덕경 제7장-사사로움을 버리고 더불어 살면, 오히려 사사로움을 이룰 수 있다. (2) | 2020.05.30 |
노자 도덕경 제6장-계곡의 신은 죽지 않는다. (4) | 2020.05.26 |
노자 도덕경 제5장-성인은 편애하지 않는다. (0) | 2020.05.23 |
노자 도덕경 제4장-빛을 은은하게 하여, 먼지가 된다. (3) | 2020.05.16 |
댓글